경제 이슈를 친절하게 풀어드리는 '경제픽' 시간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경제부 박기완 기자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첫 번째 키워드, 먼저 영상으로 보고 오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랜만에 반가운 소식인데요. <br /> <br />출산율이 바닥을 찍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국가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에서 최근 출생아 수가 다시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은 지난 9월 태어난 신생아 수가 2만590명으로 1년 전보다 10.1% 늘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14년 만에 최대 증가율입니다. <br /> <br />통상 출생아 수는 연초에 늘다가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데, 이런 추세가 깨져서 출생아 수가 석 달 연속 2만 명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3분기 합계출산율은 0.76명으로 1분기와 같은 수치로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올해 합계 출산율 역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올해들어 9월까지 0.74명을 기록했는데 통계청은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.74명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0.68명으로 최저 기록을 갈아치울 것이라는 예측을 바꾼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1.24명 이후 매년 떨어지던 출산율이 증가하는 건 9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동안 정부를 비롯해 기업까지 나서 저출산 대책들을 내놓았었는데, 갑자기 이렇게 출산이 늘어난 배경은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지만, 혼인의 증가가 결정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팬더믹 기간 동안 미뤄졌던 결혼이 지난 2022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때 결혼한 부부들이 아이를 낳기 시작하면서 출생아 수 역시 반등한 것으로 통계청은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30대 여성 인구 자체가 늘어난 데다 정부의 저출산 정책 등도 일부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이야기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임영일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: 출생아 수가 증가한 원인으로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1분기까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혼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 더불어 출산에 대한 인식이 사회 조사 결과 2년 전에 비해서 늘어난 부분이 있어서….]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혼인과 출산이 모두 늘어났다는 건데, 인식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혼인과 출산에 부담을 느끼고 꺼리던 분위기가 조금씩 달라지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만 13세 이상 우리 국민을 대상 가운데, 결혼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2716132393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